가역행렬이란
행렬의 종류 & 단위행렬
정사각행렬 : 행의 개수 mm과 열의 개수 nn이 같은 행렬
nn차 정사각행렬 :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가 nn인 n×nn×n 행렬
대각성분 : 정사각행렬의 (i,i)(i,i) - 성분 (단, i=1,2,3,⋯i=1,2,3,⋯)
대각행렬 : 대각성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이 00인 행렬
단위행렬 : 대각성분이 모두 11인 대각행렬
단위행렬은 기호 II로 표기하거나 그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nn차 단위행렬의 경우 InIn과 같이 나타낸다.
가역행렬의 정의
가역행렬과 역행렬은 함께 정의된다. 둘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.
정사각행렬 AA에 대해 AB=I=BAAB=I=BA 을 만족하는 정사각행렬 BB가 존재하면 AA를 가역행렬, BB를 AA의 역행렬 A−1A−1이라 한다.
정의를 보면 알 수 있듯 행렬 AA의 관점에서 자신은 가역행렬, 행렬 BB는 자신의 역행렬이다. 마찬가지로 행렬 BB의 관점에서 자신은 가역행렬, 행렬 AA는 자신의 역행렬이 된다.
가역행렬의 기본 성질
가역행렬과 관련된 여러 성질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역행렬의 유일성이다.
정사각행렬 A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, 그 역행렬은 유일하다.
이러한 성질은 아래와 같이 증명할 수 있다.
가역행렬 A의 역행렬이 2개 이상 존재한다고 가정하고, 그 중 임의의 서로 다른 두 행렬을 각각 행렬 B, C라 하자. 행렬곱의 결합법칙에 의해 (BA)C=B(AC) 식이 성립한다. 이때 BA=I, AC=I 이므로 B=BI=B(AC)=(BA)C=IC=C 식이 성립한다. 즉, 처음의 가정이 모순이 되어 A의 역행렬은 유일하다.
계수행렬과 가역행렬
역행렬의 쓸모는 연립일차방정식을 풀이할 때 드러난다. 아래와 같이 행렬을 이용하여 연립일차방정식을 풀이하는 상황을 가정해보자.
[a11a12a13a21a22a23 a31a32a33][x1x2x3]=[b1b2b3]
좌변의 첫 번째 행렬을 A, 두 번째 행렬을 X, 우변의 행렬을 B라 하자. 여기서 행렬 A를 연립방정식의 계수행렬이라고 한다.
위의 연립방정식은 AX=B 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. 여기서 계수행렬이 가역행렬이라면 각 변의 왼쪽에 A−1을 곱하여 식을 A−1AX=X=A−1B 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. 이는 곧 변수를 나타내는 행렬 X는 계수행렬의 역행렬 A−1과 B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. 때문에 계수행렬이 가역행렬인 경우, 우리는 그 역행렬을 이용해 연립방정식의 해를 쉽게 구할 수 있다.
뿐만 아니라, 가역행렬의 역행렬이 유일하다는 성질에 의해 연립방정식의 해가 가지는 성질 또한 달라진다.
계수행렬이 가역행렬 | 계수행렬이 비가역행렬 |
- AX=B 의 해가 유일하게 존재 - AX=0 이 자명해 X=0 만을 가짐 |
- AX=B 의 해가 유일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음 - AX=0 이 자명해 X=0 이외의 해를 가짐 |
계수행렬이 가역행렬인 경우 X=A−1B 의 관계식에 의해 행렬 X가 유일하게 결정된다. 따라서 이 경우 연립방정식의 해는 유일하게 존재하며, 특히 AX=0 인 경우 X=A−10=0 으로 연립방정식은 자명해를 가진다.
계수행렬이 비가역행렬인 경우 X=A−1B 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해의 유일성을 보장할 수 없다. 이는 여러가지 반례를 들어 증명할 수 있다.